무증과 유증 차이점 이해

흔히 주식을 하다 보며 들리는 얘기로 투자한 기업이 유상증자를 하면 주가 하락, 무상증자하면 주가 상승, 어떠한 경우는 상한가까지 얘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얘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유상증자 혹은 무상증자라는 상황에 따라 호재일 수도, 악재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서 호재와 악재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증자 기초적인 뜻과 개념

    증자의 기본 개념부터 파헤쳐 봅시다. 어떤 기업이든 사업을 하려면 항상 돈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돈을 조달할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기업이 보통 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죠.
    1. IPO(기업공개)
    2. 은행 대출, 채권 발행
    3. 증자
    여기에서 증자란 더할 증, 재물 자로 재물을 더한다 즉 자본을 늘린다는 뜻입니다. 더 쉽게 말해서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을 증자라고 합니다. 기업이 주식을 발행해서 파는 것이죠.
    돈을 받고 팔면 유상증자, 무상(공짜)으로 주면 무상증자

     

    유상증자 무상증자 호재인가 악재인가

     

    유상증자

    유상이란 누군가가 돈을 지불한다는 뜻이죠. 누가 이 돈을 누가 지불할까요. 당연히 주주(투자자)가 지불합니다.
    증자란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이라고 했죠. 즉, 유상증자란 투자자로부터 돈을 새로 받아서 주식 수를 늘려 불특정 다수에게 팔아 자본금을 늘리겠다는 것입니다.
    그럼 기업은 이걸 왜 하는 걸까요. 이득이 있으니까 하겠죠. 기업은 기업이 늘리는 주식 수만큼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이자를 내야 되는데 유상증자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고 자금을 유치할 수 있으니 더욱 좋은 방법인 것이죠. 유상증자로 자금을 조달하면 부채가 증가하지 않고 자본만 증가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기존 주주에게 불리

    그런데 이게 사실 기존 주주들 입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좀 불리한 편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한 주당 1만 원씩 1000주짜리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가 유상증자로 1000주를 늘리기로 했다면 총 2000주가 되겠죠. 그러면 총 상장 주식 수가 2배로 늘어나는 대신에 기존에 유치된 시가총액은 그대로이니 주가는 50% 할인되는 꼴입니다. 따라서 이렇게 유상증자를 하게 되면 한 주 당 가격은 1만 원에서 5천 원으로 떨어집니다.
    새로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은 주식을 좀 더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으니까 좋지만 한 주당 1만 원에 샀던 기존 주주들은 당연히 피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유상증자는 보통 주가에 악재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주가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는 <제삼자 배정 방식>

    위의 경우는 일반적인 예시를 든 것이고, 유상증자는 방식이 어떻게 되냐에 따라 주가에 호재로 미칠 수 있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유상증자 방식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주주배정방식
    2. 제삼자 배정방식
    3. 일반공모방식
    이 중에서 주가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는 방식은 제삼자 배정 방식입니다. 보통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지분 투자를 할 때 많이 활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이죠. 만약 주식을 사는 대상이 대기업이라면, 보통 해당 기업과 장기간 안정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하려는 목적이 크기 때문에 이 둘이 만들 시너지를 생각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편입니다. 주식시장은 꿈을 먹고 자라는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유상증자 시, 투자자들이 확인해야 할 부분

    1. 증가하는 주식 수(전체 주식 수 대비 몇 %가 발행되는지 확인할 것)
    2. 신주발행가액&신주배정 기준일(새롭게 발행되는 주식의 가격, 신주를 배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날짜)
    3. 자금조달의 목적(유상증자를 하는 이유)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자금 조달 목적입니다. 즉, 기업이 왜 유상증자를 하는지 그 이유를 알아야 되는 것이죠.

    유상증자의 호재와 악재는 자금조달 목적에 따라 갈린다

    기업이 보통 유상증자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데요.
    1. 시설자금 목적(기업의 성장을 위한 목적인 설비투자를 위해 필요한 자금)
    2. 영업양수 자금 목적(M&A를 위한 자금, 향후 발전이 예상되거나 합병 후 시너지 효과가 큰 기업을 인수하는 목적)
    3. 운영자금 목적(기업이 사업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자금)
    4. 채무상환자금 목적(빚을 갚는 데 필요한 자금,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목적)
    이 중에서 시설자금과 영업 양수자금은 호재로, 운영자금과 채무 상환 자금은 악재로 작용하는 편입니다.
    이어 무상증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초 인플레이션 시대엔 누가 돈을 벌었나 + 증시의 방향

    요즘 매체를 보면 하나같이 초인플레이션 시대를 맞이했다고 합니다. 이번은 이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또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과거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을 예시로 들어

    worldwide-bitcoin-journal.tistory.com


    무상증자

    무상증자의 뜻은 무엇일까요. 무상으로 주식수를 늘림, 즉 공짜로 돈을 받지 않고 주식을 나눠준다는 얘기입니다.
    따라서 100% 무상증자를 하게 되면 내가 보유한 주식 수는 2배가 됩니다. 만약에 내가 1000주를 보유하고 있는데 해당 기업이 무상증자를 했다고 한다면, 내가 보유한 주식은 2000주로 늘어나는 거죠.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

    그렇다면 무상증자는 왜 할까요. 기업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가장 큰 이유는 거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예요. 아무리 좋은 기업이더라도 거래량이 부족하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조금 극단적인 경우이지만 아마존 같은 경우는 한 때 한 주당 한화로 수백만 원을 호가하던 때가 있었죠. 큰 자본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들이야 상관없겠지만 일반 투자자들의 경우는 해당 주식에 접근하는데 많은 애를 먹을 것입니다. 게다가 수천만 원을 투자했더라도 보유 주식수가 10주 미만이라면 내가 회사의 일부를 보유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긴 어렵겠죠.
    이러한 이유들 덕분에 무상증자를 하면 주식 수가 증가하고 주가는 낮아져 거래량이 활성화되니 트레이더들의 눈에도 들게 되어 더 많은 투자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원리입니다.

     

     

    회사의 자본으로 증자

    그러면 어떻게 공짜로 주식 수를 늘릴 수 있을까요. 바로 기업이 갖고 있던 그 돈을 스스로 쓰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그럼 그 돈의 출처는 어디일까요. 바로 기업의 자본에 있는 잉여금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무상증자만큼 잉여금에서 자본금으로 이동할 뿐이기 때문에 자본금과 잉여금의 총합은 변하지 않습니다.
    이렇듯 기업이 가진 잉여 자금이 없으면 무상증자 자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겐 기업이 돈을 많이 벌어 쌓아 둔 돈이 많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겠죠. 따라서 시장에서는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해석해서 호재로 작용하는 편입니다.

     

     

    무상증자 시, 투자자들이 체크해야 할 부분

    무상증자는 남에게서 돈을 받아서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절차가 정말 간단합니다. 따라서 무상증자 공시에서 신규 배정 기준일만 잘 체크해 두시면 됩니다.

     

     

    정리

    정리하자면 유상증자라고 해서 무조건 주가가 하락하는 것도 아니고, 증자하는 기업의 자금조달 목적에 따라 호재가 될 수도 있고 악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무상증자라고 해서 무조건 주가가 상승하는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기업의 여건이 여러모로 긍정적인 상황에서 미래에 더 유리하게 바꾸기 위한 증자라면 호재로 작용하는 편이고, 부정적인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꿔보려고 시도하는 경우에는 악재로 작용하는 편이라고 이해하시면 편할 겁니다.
    감사합니다.

     

    이더리움의 전망, 과연 완벽한가에 대한 의구심

    목차 현재까지 행보로 유추할 수 있는 이더리움의 미래 몇몇 전문가들은 5년 뒤면 이더리움이 비트코인의 가치를 넘어설 것이라고 합니다. 물론 그럴 수도 있겠지만, 과연 이더리움은 사람들이

    worldwide-bitcoin-journal.tistory.com

     

    '금융지식 기르기 > 금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공개(IPO) 전략 특징  (0) 2022.12.03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